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곳은 좋은 기업일까? (기업 분석 2단계 : 단기적 유동성과 영업활동성 분석, 자사투자의 효율성 파악)

by honey melon 2023. 5. 7.

기업의 단기적 유동성을 분석합니다.

기업의 단기적 유동성은 기업이 현재 단기적으로 지불해야 할 채무를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지표들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유동비율: 유동자산 / 유동부채. 유동자산이 유동부채보다 크면 1보다 큰 값을 가지게 되며 기업이 단기적으로 채무를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이 높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당좌비율: 당좌자산 / 유동부채. 당좌자산은 현금과 현금성 자산(예: 단기금융상품)을 포함한 것으로 단기적으로 지불해야 할 채무를 감당할 수 있는 실질적인 자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좌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단기적 유동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총부채비율: 총부채 / 자기자본. 총부채비율이 높으면 기업의 부채가 많아져 채무를 감당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단기적 유동성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순운전자본: 유동자산 - 유동부채 - 단기차입금. 이는 기업이 단기적으로 운전 자금을 조달하는 능력을 나타내며 순운전자본이 높을수록 기업의 단기적 유동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위의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기업의 단기적 유동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지표들을 기업의 과거 몇 년간의 추이와 비교해보면서 미래 단기적 유동성을 예측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운전자본 회전율 분석을 통해 영업활동성을 분석합니다.

운전자본 회전율은 기업이 운전 자금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운용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운전자본 회전율이 높을수록 기업이 효율적으로 자금을 운용하고 있으며 매출액 대비 자금을 효과적으로 회전시켜 이익을 창출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운전자본 회전율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운전자본 회전율 = 매출액 / 운전자본

이때 운전자본은 유동자산에서 유동부채를 뺀 것입니다. 운전자본 회전율은 기업의 영업활동성을 분석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운전자본 회전율이 높은 기업은 자금을 빠르게 회전시켜 이익을 창출하는 데에 효과적인 경영 전략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운전자본 회전율이 높다고 해서 항상 좋은 것은 아닙니다. 너무 높은 운전자본 회전율은 기업이 수익성을 포기하고 영업활동을 줄이는 것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지표는 기업의 상황과 경쟁 환경을 고려하여 분석해야 합니다.

 

또한 운전자본 회전율은 기업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규모의 제조업 기업은 제품 제작에 많은 자금이 투입되기 때문에 운전자본 회전율이 낮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른 제조업 기업과 비교하여 운전자본 회전율을 분석해야 합니다.

 

자사투자의 효율성과 자산 구성 내역을 파악합니다.

자사투자는 기업이 자기 자본으로 자기 회사 주식을 구매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자사투자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지표들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 자사주식 비율: 자사투자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업의 자산 구성 내역을 확인해야 합니다. 자사투자의 비중이 크다면 자사투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사주식 비율을 낮추는 것이 좋습니다.
  • 배당금 수익률: 자사투자의 효율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배당금 수익률을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자사투자로 인해 기업의 이익이 감소하면 배당금 수익률도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배당금 수익률이 낮아진다면 자사투자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ROE: 자사투자의 효율성을 판단하는 또 다른 지표로는 ROE(자기자본이익률)가 있습니다. ROE는 기업의 이익과 자기자본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만약 자사투자로 인해 이익이 감소하게 된다면 ROE도 감소하게 됩니다.
  • 자사주식 재매각 가능성: 자사투자를 통해 보유한 자사주식을 언제든지 재매각할 수 있는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만약 자사주식 재매각이 어렵다면 자사투자가 기업의 자금을 점유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자사투자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자산 구성 내역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자사투자로 인해 기업의 이익과 ROE가 감소하는지, 자사주식 재매각이 가능한지 등을 고려하여 분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자사투자의 효율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자사투자에 대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