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장기 안정성(재무구조)을 분석합니다.
기업의 장기 안정성을 분석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인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지표들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부채비율(Debt-to-Equity Ratio)
부채비율은 기업의 총 부채를 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장기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채비율이 일정 수준 이상인 기업은 장기적인 안정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대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자보상비율(Interest Coverage Ratio)
이자보상비율은 기업의 이자비용을 벌어들인 이자수익으로 나눈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자보상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은 이자부담을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이 강해지며 장기적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현금흐름(Cash Flow)
기업의 현금흐름은 기업이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 등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의 총액을 나타냅니다. 현금흐름이 많을수록 기업은 장기적인 안정성을 유지하기에 용이합니다.
장기적인 성장 전망
장기적인 안정성을 평가할 때는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 전망도 고려해야 합니다. 기업이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지 등을 파악하여 분석해야 합니다.
기업의 장기적인 안정성을 분석하는 데에는 부채비율, 이자보상비율, 현금흐름 등의 재무지표뿐만 아니라 기업의 경쟁력, 산업 동향, 경영진의 역량 등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기업의 장기적인 안정성을 평가하고 향후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회사의 성장성과 레버리지(변동성)을 분석합니다.
매출액 증가율
매출액 증가율은 기업이 한 해 동안 벌어들인 매출액의 증가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매출액 증가율이 높다면 기업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순이익 증가율
순이익 증가율은 기업이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의 증가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순이익 증가율이 높다면 기업은 이익을 증대시키며 성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자산 증가율
자산 증가율은 기업이 한 해 동안 보유한 자산의 증가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자산 증가율이 높다면 기업은 성장에 필요한 자산을 확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ROE(Return on Equity)
ROE는 기업의 자기자본에 대한 이익률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E가 높다면 기업은 자기자본을 이용하여 높은 이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성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레버리지 비율(Leverage Ratio)
레버리지 비율은 기업의 부채와 자기자본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레버리지 비율이 높다면 기업은 외부자금을 많이 유치하여 운영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기업의 성장성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레버리지 비율이 너무 높으면 기업의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적절한 수준을 유지해야 합니다.
기업의 성장성과 레버리지 분석을 위해서는 매출액 증가율, 순이익 증가율, 자산 증가율, ROE, 레버리지 비율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분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성장성과 안정성을 파악하고, 향후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수익성과 투자수익률을 분석합니다.
기업의 수익성과 투자수익률 분석을 위해서는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지표들을 사용합니다.
총자산회전율
총자산회전율은 기업의 자산을 활용하여 얼마나 많은 매출을 창출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총자산회전율이 높을수록 기업은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매출을 창출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수익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순이익률
순이익률은 기업의 매출액 대비 순이익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순이익률이 높을수록 기업은 매출액 대비 이익을 많이 창출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수익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자기자본이익률은 기업의 자기자본에 대한 이익률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자기자본이익률이 높을수록 기업은 자기자본을 활용하여 높은 이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수익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투자수익률(ROI)
투자수익률은 기업이 투자한 자산에 대한 수익률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투자수익률이 높을수록 기업은 투자한 자산에 대해 높은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투자성과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동비율
유동비율은 기업의 유동자산에 대한 유동부채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유동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은 현재의 부채를 갚는 데 충분한 유동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안정성과 수익성이 높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의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기업의 수익성과 투자수익률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이 어떤 경영전략을 수립해야 하는지, 더 나은 수익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재무상태를 체크하고 적절한 대처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총자산회전율과 순이익률이 낮은 기업은 매출액 증가나 비용 절감 등의 경영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ROE와 ROI가 낮은 기업은 자기자본의 구성을 재조정하거나 자본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유동비율이 낮은 기업은 현금흐름의 안정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렇게 각 지표별로 기업의 상황을 파악하고 대처 방안을 마련하여 경영전략을 수립하면 더욱 효과적인 경영이 가능합니다.
'회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곳은 좋은 기업일까? (기업 분석 4단계 : 현금흐름, 재무적 위험요인 분석) (0) | 2023.05.13 |
---|---|
이곳은 좋은 기업일까? (기업 분석 1단계 : 기업 프로필 작성과 주석 정보 확인) (0) | 2023.05.05 |
회사의 성장과 활동성을 측정해보자. (0) | 2023.05.02 |
재무비율 분석 방법,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연계 (0) | 2023.04.29 |
재무비율의 개념과 분류 (0) | 2023.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