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 정보

감가상각을 왜 해야 할까?

by honey melon 2023. 4. 8.

감가상각을 해야 하는 이유

감가상각은 회사에서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정자산의 가치가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것을 반영하여 해당 자산의 가치를 일정 기간에 걸쳐 분할 감소시켜 계산하는 회계 처리 방법입니다. 감가상각을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자산의 가치 하락 반영: 자산의 가치는 시간이 지나면서 노후, 마모, 사용에 의한 감소 등으로 인해 하락합니다. 이러한 자산 가치의 하락을 반영하여 재무제표 상에서 자산의 가치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감가상각을 합니다.
  • 정확한 비용 계산: 자산을 구입한 비용을 모두 한 번에 계산하게 되면 해당 자산이 가지는 가치 하락에 따라 부과되는 비용이나 수익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없습니다. 감가상각을 통해 자산 구입 비용을 일정 기간에 걸쳐 분할하여 계산함으로써 해당 자산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비용과 수익을 보다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세무 및 회계적인 목적: 세무상의 요구나 회계원칙상의 요구 등으로 인해 감가상각을 시행하게 됩니다. 세무상으로는 감가상각 비용이 비용으로 인정되어 세금 부과가 감소하게 되고 회계적으로는 감가상각을 통해 자산 가치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습니다.

감가상각은 자산의 종류와 기간, 감가상각 방법 등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적용됩니다. 자산을 구입한 당일부터 감가상각을 시작하지 않고 일정 기간 이후부터 감가상각을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재무제표 속 감가상각비

감가상각비는 재무제표 중에서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손익계산서에서는 감가상각비가 "비용"으로 계산되어 자산 가치의 감소에 따라 회사의 지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재무상태표에서는 감가상각비가 "고정자산"의 감가상각비 항목에 기재됩니다. 이 항목은 "누적 감가상각액"과 함께 표시되며 누적 감가상각액은 해당 자산의 누적 감가상각 비용을 나타냅니다.

 

즉, 재무제표에서 자산 가치의 감소에 따른 비용과 누적 감가상각액을 확인하여 해당 자산의 가치 변화와 회사의 재무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감가상각비용

감가상각비용은 자산의 감가상각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이는 회계상의 개념으로서 고정자산의 가치가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드는 것을 고려하여 해당 자산의 가치 감소 비용을 계산한 후 해당 비용을 연도별로 분배하여 회계에 반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감가상각비용은 자산의 취득 가격, 잔존 가치, 사용 기간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계산되며, 회계 감사 등을 통해 정확하게 산출됩니다. 감가상각비용은 고정자산의 감가상각비, 즉 노후화 등으로 인해 감소하는 자산 가치의 비용을 의미합니다. 이 비용은 기업의 손익계산서에 반영되어 영업이익을 감소시키게 됩니다.

 

감가상각비가 비용이 되는 시점

감가상각비가 비용이 되는 시점해당 자산을 사용하거나 대여하는 기간 동안입니다. 자산이 획득되면, 감가상각비가 비용으로 계산되어 해당 자산의 사용 기간 동안 매년 회계 재무제표에 반영됩니다.

 

기계를 10년 동안 사용할 계획이라면 기계를 획득하는 년도부터 10년간의 기간 동안 감가상각비가 비용으로 계산됩니다. 이를 감가상각비의 회계 원칙이라고 합니다.

 

감가상각비가 비용으로 계산되는 이유는 해당 자산의 가치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감가상각비는 이러한 자산 가치의 감소를 반영하는 비용으로서 매년 일정한 비율로 계산되어 해당 자산의 가치를 부분적으로 회수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감가상각비는 해당 자산을 사용하거나 대여하는 기간 동안 비용으로 인정됩니다.

 

제조원가와 판관비

제조 원가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에 사용되는 장비나 기계 등의 고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비는 제조 원가에 포함됩니다. 이는 해당 자산을 이용하여 생산한 제품에 대한 원가로 인정되어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반면 판관비는 제조 과정과는 직접적으로 연관이 없는 비용으로서 제조 원가에 직접적으로 반영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판매 비용, 광고 비용, 인건비, 사무실 임대료 등은 판관비로 분류되며 감가상각비 중에서도 이러한 경비로 인해 발생하는 고정자산의 감가상각비는 판관비에 포함됩니다.

 

종합적으로 감가상각비는 제조 과정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자산의 감가상각비는 제조 원가로 판매와 관리와 같은 간접적인 경비로 인한 자산의 감가상각비는 판관비로 나뉘어 계산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