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감자
유상감자는 기업이 주식을 발행하여 주주들에게 유상으로 배분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기업이 추가 자금을 모으기 위해 발행한 주식을 현 주주가 구매하는 것으로 구매 대금은 현금으로 지불됩니다.
유상감자는 주식시장에서의 기업 이미지 향상과 자금 조달에 활용됩니다. 주식시장에서 유상감자를 발행한 기업은 경영의 건전성과 안정성이 높다고 인식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주주들에게는 기존 주식보유 비율을 유지한 채 주식 발행으로 인해 기업이 보유하고 있던 총 주식수가 증가하게 됨으로써 주식의 시장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주주들은 자신들의 주식 투자 가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감자차손
감자차손(loss on capital reduction)은 유상감자(有償減資)시에 자본금의 감소로 발생하는 손실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기업이 10억 원의 자본금을 갖고 있을 때 1억 원을 유상감자하여 자본금이 9억 원으로 줄어들면 이 감소한 1억 원을 회계처리할 때 감자차손으로 처리됩니다. 감자차손은 손익계산서에서 기타손실 항목에 포함되어 제시됩니다.
감자차익
감자차익(差盈)은 유상증자나 유상감자 등을 통해 발생하는 차익입니다. 이는 유상증자나 유상감자로 인해 발생하는 자본금의 증가 또는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차이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A회사가 유상증자를 통해 1억 원의 자본금을 증가시켰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 때 유상증자 가액은 1,200만 원이었습니다. 이 경우 감자차익은 800만 원으로 계산됩니다. 이는 유상증자 가액인 1,200만 원에서 증자금인 1억 원을 뺀 200만 원과 유상증자 비용 등의 부대비용 200만 원을 더한 값입니다.
유상감자로 발생한 감자차손과 감자차익
유상감자는 기존 주주가 보유한 주식의 가격보다 높은 가격으로 주식을 발행하여 자본금을 확보하는 방법입니다. 이 경우 감자차손이나 감자차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자차손이 발생한 경우 유상감자로 인해 발행된 주식의 가격이 보유하고 있던 주식의 가격보다 높아져서 발생하는 손실을 말합니다. 이 경우 유상감자금을 회사 자산으로 처분하는 것이 아니라 감자차손 충당부채를 설정하여 회계 처리합니다. 이때 충당부채의 금액은 감자차손의 크기와 같습니다. 감자차손 충당부채는 자본과 부채 사이에 위치하는 충당부채 계정에 계상됩니다.
반대로 감자차익이 발생한 경우 유상감자로 인해 발행된 주식의 가격이 보유하고 있던 주식의 가격보다 낮아져서 발생하는 이익을 말합니다. 이 경우 유상감자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유상감자금 증자차익 계정에 계상하여 회계 처리합니다. 즉, 이익을 회사 자산으로 인정합니다.
유상감자로 차익을 낸 사례
유상감자로 차익을 내는 방법 중 하나는 기업이 유상증자를 발행하면서 발생하는 주식 가격의 변동을 예측하여 그에 따라 매매하는 것입니다. 다음은 유상감자로 차익을 낸 사례 중 일부입니다.
- 삼성전자: 2015년 4월, 삼성전자가 5:1의 비율로 유상증자를 결정하면서 발생한 주식 가격 변동을 이용하여 차익을 냈습니다.
- 현대자동차: 2014년 3월, 현대자동차가 5:1의 비율로 유상증자를 결정하면서 발생한 주식 가격 변동을 이용하여 차익을 냈습니다.
- SK하이닉스: 2021년 3월, SK하이닉스가 9:1의 비율로 유상증자를 결정하면서 발생한 주식 가격 변동을 이용하여 차익을 냈습니다.
위의 예시들은 기업이 유상증자를 결정할 때 발생하는 주식 가격 변동을 예측하여 차익을 내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이는 매우 위험한 투자 방법 중 하나이며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없는 투자자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기주식을 사고팔 때의 회계 처리
기업이 자기주식을 사고 판매할 때는 회계적으로 이를 처리해야 합니다. 자기주식은 기업이 발행한 주식 중 자신의 자본금으로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말하며 이를 사고 판매하는 경우에는 기업의 자본금과 이익에 영향을 미칩니다.
자기주식 매수
먼저 기업이 자기주식을 매수할 때는 보통 현금으로 지불합니다. 이 경우 자기주식은 기업의 자산으로 처리되며 현금은 자기주식의 가치에 대응하는 자본금에서 차감됩니다. 따라서 기업의 자본금은 그대로 유지되며 자산은 증가합니다.
자기주식 매도
기업이 자기주식을 매도할 때는 자기주식의 매수가격과 판매가격의 차이에 따라 기업의 이익이 발생합니다. 이익이 발생한 경우 이를 자본금에 추가합니다. 반대로 손실이 발생한 경우에는 자본금에서 차감합니다.
기업이 1,000주의 자기주식을 매수할 때는 1억 원을 지불합니다. 이후 2년 뒤 1,500만 원에 1주당 가치가 상승한 시점에 이를 매도하는 경우 매도 대금은 1억 5000만 원입니다. 이 경우 기업은 1억 5000만 원에서 1억 원을 차감한 5000만 원의 이익이 발생합니다. 이를 자본금에 추가합니다.
위와 같이 자기주식을 매도할 때는 이익과 손실을 구분하여 자본금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자신의 자기주식 거래로 인한 영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회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판매 후 다시 임대하는 세일앤리스백 (임대거래, 차입거래) (0) | 2023.04.10 |
---|---|
금융리스와 운용리스의 회계 (0) | 2023.04.09 |
주식 가치 상승을 위한 방식 : 무상증자, 무상감자 (자본잠식 사례 소개) (0) | 2023.04.09 |
충당금과 충당부채, 신종자본증권 (0) | 2023.04.09 |
무형자산의 종류 : 투자, 비용, 연구개발비, 영업권 (0) | 2023.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