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 정보

스톡옵션을 직원에게 증여 시 어떻게 회계처리를 할까?

by honey melon 2023. 4. 10.

스톡옵션이란?

스톡옵션(Stock Option)주식 옵션(Stock Option)의 일종으로 기업에서 임직원에게 제공하는 급여 혜택 중 하나입니다. 스톡옵션은 기업의 주식을 일정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즉, 임직원은 스톡옵션을 행사하여 일정 가격으로 기업의 주식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스톡옵션의 목적

스톡옵션은 기업이 임직원을 보상하고 임직원의 인센티브를 높이고 임직원들의 기업 경영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등의 목적으로 제공됩니다. 스톡옵션은 일반적으로 제한 기간 내에 행사가 가능하며 행사 가격은 주식의 현재 시장 가격보다 낮습니다. 이는 임직원에게 더 많은 이익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스톡옵션은 행사가 가능한 시점과 행사 가격, 행사 가능한 주식 수 등이 미리 정해진 계약서에 따라 제공됩니다. 미리 정해진 가격보다 시장 가격이 높을 때 스톡옵션을 행사하면 이익을 얻게 되고 시장 가격이 더 낮을 경우에는 스톡옵션을 행사하지 않을 것입니다. 스톡옵션은 일반적으로 상장 기업에서 제공되며 비상장 기업에서도 제공될 수 있습니다. 비상장 기업의 경우 스톡옵션 행사 시 주식을 얻는 것이 아닌 현금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톡옵션 부여 시 생기는 재무제표의 변화

스톡옵션 부여 시 생기는 재무제표의 변화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

첫째, 기업의 재무상태에 변화가 생깁니다. 스톡옵션 부여는 현금을 지급하는 것과는 달리 비용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부여받은 임직원이 나중에 스톡옵션을 행사할 경우 이를 위해 기업이 주식을 발행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 기업의 자본 구조가 변화하게 됩니다. 자본 구조가 변화하면서 기업의 자산과 부채 비율도 변화할 수 있습니다

.

둘째, 기업의 손익계산서에 변화가 생깁니다. 스톡옵션 부여 시 비용이 부과되지 않지만 임직원이 나중에 스톡옵션을 행사할 경우 해당 주식의 시장 가격과 행사 가격 사이의 차액이 비용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스톡옵션 행사 시점에서는 이 비용이 손익계산서에 반영되어 기업의 영업이익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또한 스톡옵션 행사 시 발행된 주식이 주당 이익을 낮추는 요소가 됩니다.

즉, 스톡옵션 부여는 기업의 자본 구조와 손익계산서에 영향을 미치며 임직원에게 제공되는 급여 혜택 중 하나입니다.

 

대주주가 직원에게 주식 증여 시 회계처리

대주주가 직원에게 주식을 주는 경우 회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회계 처리를 하게 됩니다.

  • 주식 부여 비용 계산: 대주주가 직원에게 주식을 부여하는 경우 이는 일종의 급여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비용을 회계상에 반영해야 합니다. 주식 부여 비용은 대주주가 주식을 구입한 가격 또는 시장 가격과 부여 대상자의 임금에 따라 계산됩니다.
  • 주식 발행: 대주주가 주식을 직원에게 부여한 후에는 해당 주식을 발행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서 주식 발행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발행된 주식은 회사의 자본 구조에 반영되며 해당 주식이 발행된 시점에서 회사의 발행 자본금이 증가합니다.
  • 임금 지급: 대주주가 직원에게 주식을 부여한 것은 일종의 급여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주주는 주식 부여와 함께 해당 직원의 임금 지급에 대한 책임도 부담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대주주는 해당 직원에게 지급할 급여를 상응하는 주식 수로 환산하여 책정하게 됩니다.
  • 재무제표 반영: 대주주가 직원에게 주식을 부여하는 것은 회사의 재무상태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주식 부여는 회사의 재무제표에 적절하게 반영되어야 합니다. 주식 부여 비용은 손익계산서 상의 비용으로 발행된 주식은 기타포괄손익계산서 상의 자본으로 회계 처리됩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대주주가 직원에게 주식을 부여하면 회사는 해당 주식이 발행되고 직원에게 급여를 지급하게 되며 회계 상으로도 이러한 주식 부여가 적절하게 반영됩니다.

 

스톡옵션 보상 사례

한 회사에서 A라는 직원에게 2022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총 10,000주의 주식 옵션을 부여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회사의 주가는 부여일인 2022년 1월 1일에 1주당 100원이라고 합시다. 이 경우 회사는 다음과 같이 스톡옵션 보상을 부여하고 회계처리합니다.

 

1. 스톡옵션 비용 산정

스톡옵션 비용은 보상을 부여하는 날짜의 시장 가격과 행사 가격 사이의 차액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이 경우 A직원이 행사 가격으로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시장 가격은 100원이므로 스톡옵션 비용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10,000주 x (100원 - 0원) = 1,000,000원 즉, 이 회사는 A직원에게 부여한 스톡옵션 비용으로 1,000,000원을 인정해야 합니다.

 

2. 스톡옵션 비용 분개

이제 스톡옵션 비용을 분개해야 합니다. 스톡옵션 비용은 보상을 받는 기간 동안 일정 기간에 걸쳐 분개됩니다. 일반적으로 보상을 받는 기간은 1년에서 4년 정도이며 분개 주기는 분기별, 반기별, 연간 등으로 결정됩니다. 이 경우 2022년 1월 1일에 부여된 스톡옵션은 3년 동안 유효하며 분기별로 분개하도록 결정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이 스톡옵션 비용을 분개합니다.

 

2022년 1분기

  • 스톡옵션비용 250,000원
  • 이자비용(유동부채) 250,000원

2022년 2분기

  • 스톡옵션비용 250,000원
  • 이자비용(유동부채) 250,000원

2022년 3분기

  • 스톡옵션비용 250,000원
  • 이자비용(유동부채) 250,000원

2022년 4분기

  • 스톡옵션비용 250,000원
  • 이자비용(유동부채) 250,000원

 

3. 스톡옵션 행사 시 처리

만약 A직원이 2024년 12월 31일까지의 유효

 

댓글